Ⅰ. 사업 개요
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은 저소득층 및 사회적 배려계층 청소년 중 우수한 잠재력을 지닌
학생들에게 장학금과 함께 진로·학업 멘토링을 제공함으로써, 교육기회의 형평성을 제고하고
미래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입니다.
2. 지원 대상 및 구분
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은 크게 두 개 유형으로 구분됩니다.
① 꿈장학금
㉮ 지원대상: 중학교 2학년 ~ 고등학교 2학년 재학생 중 역경을 극복하고 학업에 뛰어난 잠재력을
지닌 학생
㉯ 선발기준:
- 기초생활수급자, 차상위계층, 한부모가정, 가정위탁아동, 장애가정 등 사회적 배려계층 우선
- 학업성취도와 자기주도성, 진로계획의 구체성 등 종합심사
㉰ 지원내용:
- 연 350만 원(학기별 175만 원) 이내 장학금 지원
- 학업·진로 멘토링, 진로탐색 프로그램 등 비금전적 지원 포함
㉱ 지급기간: 최대 4년(중2~고2 사이 선발 시, 고3까지 계속 지원 가능)
② sos장학금
㉮ 지원대상: 긴급 위기 상황에 처한 중·고등학생
㉯ 지원사유:
- 보호자 실직, 중대한 질병, 가정폭력, 자연재해 등
㉰ 지원내용:
- 1인당 최대 500만 원 범위 내에서 수시 지원
- 학비, 교복비, 교재비, 생계비 등 필요 항목 중심
㉱ 지급방식:
- 연중 수시 신청 가능, 위기 상황 발생 즉시 접수 및 신속심사
3. 장학금 지원 내용 및 형태
① 금전적 지원
항목 | 꿈장학금 | sos장학금 |
연간 지원액 | 최대 350만 원 | 최대 500만 원 |
지급 시기 | 학기별 지급 | 수시 지급 |
사용 용도 | 학습비, 활동비 등 자율적 사용 | 학비, 생계비 등 위기 해소 목적 |
※ 장학금은 학생 명의 계좌로 지급되며, 학습목적 외 사용 자제 권고
② 비금전적 지원
- 멘토링 프로그램: 대학생 또는 사회인 멘토와의 1:1 매칭
- 진로 탐색 캠프: 직업체험, 명사특강, 진로계획서 작성 지도 등
- 장학생 네트워크 형성: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, 연합 행사 운영
4. 선발 절차 및 일정
① 꿈장학금
- 추천 대상자 접수: 매년 3~4월경
- 학교장 추천 또는 지역인재 발굴기관 추천
- 서류 심사 → 면접 → 최종 선발
- 최종 발표: 6월 중
- 지원 개시: 2학기부터 지급 시작
② sos장학금
- 상시 접수: 위기 상황 발생 시 학교·복지기관 통해 추천
- 간이 서류심사 후 즉시 지원 가능
5. 신청 방법
- 꿈장학금: 학교를 통해 신청 또는 추천기관을 통해 추천
- sos장학금: 학교(담임 또는 교감), 위(Wee)센터, 사회복지기관 등을 통해 수시 접수
- 제출서류: 신청서, 보호자 소득증빙서류, 교사 추천서, 생활기록부 등
※ 신청은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온라인 접수 또는 서면 제출 가능
6. 운영 기관 및 사업 특성
① 운영 기관
- 주관: 한국장학재단
- 재원: 복권기금 (기획재정부 배정)
- 협력: 교육부, 시·도 교육청, 학교, 복지기관 등과 협업
② 주요 특성
- 교육복지형 장학사업으로, 단순 금전지원이 아닌 전인적 성장 지원 추구
- 장기 지원 및 맞춤형 관리로 학생별 진로계획 수립에 실질적 도움 제공
- 복권기금을 통한 사회 환원 목적 실현: 사회적 취약계층 대상 공공사업 중 대표 사례
7. 2025년 주요 변화사항 (예상 포함)
- 지원인원 확대: 꿈장학금은 2024년 약 1,800명 → 2025년 2,000명 수준 확대 예정
- 진로 연계 강화: 지역 산업과 연계한 맞춤형 진로 체험 프로그램 확대
- 멘토링 질적 개선: 멘토 사전 교육 강화, 정기 모니터링 도입
- 디지털 플랫폼 확대: 온라인 진로 콘텐츠, 상담채널 등 강화
8. 유의사항
① 중복수혜 제한: 정부 및 공공기관의 유사 장학금과 중복 수혜 불가 (단, 학교장 추천 시 일부 예외
가능)
② 지원 중단 조건:
- 지속적 미성실 참여
- 장학금 부정사용
- 학적 변경(자퇴, 유학 등)
- 장학생 관리 의무: 학기별 학업보고서, 진로계획서 등 제출 필요
9. 문의처
- 한국장학재단 복권기금 장학사업부
0 전화: 1599-2290
0 홈페이지: www.kosaf.go.kr
10. 마무리
복권기금 꿈사다리 장학사업은 단순한 금전 지원을 넘어, 진로 설계·인생 설계의 디딤돌 역할을 수행
하는 복합형 공공장학 사업입니다. 특히 사회적 배려계층 청소년들이 희망을 잃지 않고 학업을 지속
할 수 있도록 장기적·심층적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, 한국 사회의 교육복지 향상과 공정한 기회
제공의 대표 사례로 꼽히고 있습니다. 2025년에도 꾸준히 확대되고 있는 본 사업은, 우리 사회의
‘교육 사다리 복원’을 위한 상징적인 정책 중 하나입니다.